등산지식

登山mountaineering:산을 타는 즐거움으로 오르기 힘든 높은산에 올라가는 스포츠. 따라서 동식물 채집같은 학술조사를 위해 산에 올라가는것은 등산이 아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등산인구가 늘어나 등산은 관광레크리에이션화 또는 프로스포츠화 되어있다.


세계 등산의 변천:사람들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아주 오랜 옛날부터 알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시인 페트라르카는 1336년 프로방스의 몽벤투(1920m)에 올라가 아버지에게 편지로 고된 등반가운데의 즐거움을 전하고 있다. 1574년에는 세계최초의 등산기술서가 취리히 대학 지물러 교수에 의해 출판되었다. 18세기 중엽에는 알프스의 최고봉 몽블랑(4807m)에 큰 관심을 가졌던 제네바의 자연과학자 오라스베네딕 트드소쉬르가 몽블랑 등반자에게 상금을 걸어, 1786년 프랑스 샤모니의 의사 파카르와 수정채취인 팔머가 정상에 올랐다. 이리하여 알프스 스포츠 등산 황금시대가 시작되었다. 알프스 제2 의 고봉 몬테로자(4634m)를 1855년 영국의 스마이스 일행이 등정하는 등 영국등산가를 중심으로 미등의 거봉들이 잇따라 정복되었으며 57년에는 세계최고(世界最古)의 등산회인 알파인클럽이 영국 런던에서 발족했다. 알프스의 황금시대는 마터호른(4478m)의 등정으로 끝났으나 영국의 판화가 에드워드 휨퍼는 65년 드디어 그정상에 섰다. 그러나 하산도중 로프가 끊어져 추락했다.이 사고로 한때 등산 금지론까지 나왔으나 등산자의 눈은 알프스에서 카프카스·안데스·히말라야 등으로 옮겨갔다.97년 남아메리카의 아콩카과(6960m)가 영국의 피츠제럴드대(隊)에의해 1910년 알래스카의 매킨리(6187m)가 미국의 테일러 일행에의해, 1889년 아프리카의 최고봉 킬리만자로(5895m)가 독일의 마이어등에 의해 등정되어 남은것은 히말라야 카라코룸·힌두쿠시등7000, 8000m의 고봉 들이었다. 36년 틸먼등 영미합동대의 난다데비(7817m) 등정이 제2차세계대전전의 최고 기록 이다. 제2차세계대전후 프랑스의M. 에르조그대(隊)가 50년 안나푸르나(8091m) 등정에 성공하여 히말라야의 황금시대가 시작되었고, 53년 영국의 J. 헌트대(隊)가 에베레스트(8848m),독일대가 낭가파르바트, 54년 이탈리아대가K2, 오스트리아 대가 초오유, 55년 프랑스 대가 마칼루, 56년 일본 대가 마나슬루(8125m), 스위스 대가 로체, 오스트리아 대가 가셰르브룸Ⅱ, 57년 오스트리아 대가 브로드피크, 58년 미국대가 히든피크, 60년 스위스대가 다울라기리, 64년 중국대가 고사인탄을 등정하여 세계의8000m급 거봉의 초등정이 끝났다.60년대에는 일단 정복된 산이라도 더 험난한 루트에 의한 등반, 70년대부터는 단독등반에 더 많은 가치가 인정되었고 위험도가 높은 등산이 많아 졌다.


등산기술:등산기술은 같은 산, 같은 코스 라도 계절 또는 기후에 따라 그난이도가 다르다. 따라서 빈틈없는 준비와 훈련후에 행동계획을 입안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힘의 관계에서 판단해가는 것이 중요하다. 등반·보행·생활등의 구체적기술은 2차적인것에 지나지않는다.


등반형식:왕복, 횡단, 종주(縱走), 방사상(放射狀), 집중, 소행(遡行) 등으로 나뉜다. ①왕복등산:같은 산을 같은 코스로 오르내리는 초보적인것

②횡단등산:한쪽에서 등산하여 다른쪽에서 내리는 방법

③종주등산:몇개의 산정을 이어서 걷는 방법

④방사상등산:산록 또는 산속에 근거지를 두고 주변산들을 오르내리는것

⑤집중등산:하나의 산정을 향하여 여러팀이 서로 다른 루트로 등산하는 방법

⑥소행:계곡을 따라 오르내리는 방법.


등산계획:목표로하는 산과 등산기일을 정하고, 멤버 개개인의 체력·기술·경험등을 참작하여 팀의 능력을 판단한다.

등산 전에 몇차례 회합을 갖고, ① 목적지·코스의 결정 ② 리더와 멤버의 결정 ③ 예산 ④ 등반대 각자의 임무분답 ⑤ 행동예정표·식량장비표·참가자명부 작성 ⑥ 현지·재향연락소 설정 등을 협의·검토한다. 그 결과 참가자 전원이 목적하는 산과 루트를 사전에 숙지하고 있으면 이상적이라고 하겠다. 〈트레이닝〉 산의 난이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등산에도 트레이닝은 필요하다. 평소부터 몸을 길들이고 체력을 길러 두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내구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몸에 저항력을 붙이도록 10일 전쯤부터 칼로리 섭취에 충분한 주의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행기술:걷는 방법과 휴식방법이 중요하다. 일정한 속도로 발바닥 전체를 사용하여 리드미컬하게 걸어 피로를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체로 20분 정도 걸은 다음 한번 쉬고, 신체·의복·짐 상황을 조절한 다음부터는 50분에 10분씩 쉬는 것이 보통이다. 팀원 중 발이 약한 사람을 표준으로 하고, 지도상에서 늘 자기 위치를 확인하면서 걷는다.


등반기술:암벽·빙설을 오르내리는데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암벽등반시에는 4개의 수족 중 3개는 늘 확실한 거점에 두고 다음 거점을 찾아야 한다. 곤란한 곳에서는 동행자와 로프로 같이 묶고 서로 확보하면서 나아간다. 거점이 적은 곳에서는 하켄·카라비너·줄사다리·활차 등을 사용한다. 빙설을 오르내리는데는 동철(冬鐵)·스키 등을 이용하고, 단단한 눈이나 빙벽에는 피켈·아이젠을 사용한다. 어려운 곳에서는 암벽의 경우와 같이 로프·하켄·카라비너를 사용한다. 등반기술은 세심한 주의와 엄격한 훈련을 거쳐야 비로소 쓸모있는 것이 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산막 등의 기존시설을 이용할 때는 남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하는 매너가 중요하다. 천막을 칠 때는 여름의 갑작스런 홍수, 겨울의 눈사태 등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그 설치장소 판단이 중요하다. 천막준비가 없이 비박할 경우에는 첼트작 이용기술이 필요하며 적설기에는 설동(雪洞) 또는 이글루를 만들어 이용한다.


등산용구:등산은 주로 보행에 의존하므로, 많은 용구나 식량을 휴대할 수는 없다. 안전·견고·경량·간편은 등산용구의 필요조건이다.


복장:평지의 복장보다도 신체보호·보온·방수·방풍기능이 양호해야 한다. 보행은 많은 노동량을 필요로 하므로, 땀을 흘릴 때 간단하게 방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오한으로 고생한다. 방한용에는 모직이 좋고, 스웨터는 가슴을 넓게 열 수 있는 것이 좋다.


장비:기본 장비는 등산화와 배낭이며, 나머지는 목표로 하는 산, 등산기간, 계절, 팀 인원 등에 따라 다르다. 신은 눈이 없는 곳을 오르는 가벼운 등산의 경우에는 캐러밴슈즈라는 경등산화로 족하고 겨울에는 스패치를 착용한다. 배낭은 큼직한 것이 좋고, 장기간 베이스캠프에서 생활할 때는 큰 것과 작은 것을 함께 사용한다.


등반용구:암벽등반에는 자일·하켄·카라비너·해머와 셀프빌레이용 하니스, 특수 등반용으로 줄사다리·유마르·피피초크 등이 사용된다. 빙벽등반을 위해서는 피켈·아이젠 외에 암벽등반 때와 마찬가지로 하켄·카라비너·해머가 필요하나 하켄·해머는 빙설용을 사용한다. 그 밖에 눈사태끈·표지포(標識布)·스키 세트·동철(冬鐵) 등이 필요하다.


일반휴대품:수통·일용품(성냥·세면도구·휴지·나이프·깡통따개·재봉용구·필기구등)·지도·컴퍼스·시계·라이트·구급약품·비상식량 등은 어떤 등산에도 필요하며, 라디오·카메라 등은 때에 따라 준비한다.


식량:등산은 많은 노동량을 필요로 하므로 체중 50㎏의 사람이 평지에서 2500칼로리를 필요로 했을 때 여름산에서는 4000칼로리, 겨울산에서는 5000칼로리 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맛있고 소화흡수가 잘되며 영양가가 높은 것, 가볍고 부패변질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산에서는 갑자기 노동량이 많아지고, 식욕도 주는 경우가 있어서 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출발 1주일쯤 전부터 충분한 영양식을 섭취해 둘 필요가 있다. 주식은 쌀·빵 정도면 되고 칼로리 섭취를 위해 버터·치즈·육류의 지방질, 콩·대구포 등의 단백질, 홍당무·피망 등의 비타민A 등을 적당히 준비한다. 산에서는 예기치 않았던 일로 계획일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비상식량을 반드시 지참하여야 한다. 또 산에서는 물을 되도록 마시지 않도록 한다. 많은 물의 섭취는 위액을 엷게 하고 쓸데없이 땀을 흘려 체력을 소모시킨다.


산에서의 조난:조난사고의 대부분은 피할 수 있으며, 불가항력에 의한 조난은 소수에 불과하다. 조난의 3대원인은 암벽추락·눈사태·피로이며, 희생자는 압도적으로 20대가 많다. 자신의 힘의 한계를 잊고 실력 이상의 등산에 욕심을 내지 않도록 겸허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조난방지의 최선의 방법이다. 기후의 급변이나 길을 잃었을 때 생기는 마음의 동요는 조난의 제 1보라 할 수 있다. 이럴 때 리더는 먼저 대원을 완전히 장악하고 침착하게 다음 행동을 생각해야한다. 길을 잃었을 때 먼저 있던 지점으로 되돌아간다는 룰을 지키지 않고 육감으로 행동하는 것은 심신소모의 큰 원인이 되고 조난을 자초한다. 짙은 안개로 앞이 잘 안보여 길을 잃었다고 생각되면 그 자리에서 멈추고 마음의 평정을 찾아 선후책을 강구해야 된다. 산에서 피로하면 초조감이 수반되며, 극도의 초조감은 상궤를 벗어난 정신상태를 일으키는 일도 있다. 적설기의 조난은 눈사태와 눈보라가 압도적이며, 자기 팀에서 사고자가 나왔을 때 리더는 다른 대원의 정신적 동요를 억제하고 당황하지 않도록 지휘해야 한다. 전락사고가 났을 때는 팀이 흩어지지 않도록 안전지대로 유도한 다음 전락장소까지 내려가 응급조치를 한다. 전락자를 찾을 수 없을 때는 힘을 다하여 찾아보고, 그래도 찾을 수 없을 때는 즉시 구원요청을 하여야 한다. 구원을 요청할 때는 ① 사고자의 성명·연령·주소·근무처·소속단체 ② 리더의 성명·주소 ③ 사고발생장소·상황·시간 ④ 나머지 인원의 상황 ⑤ 팀의 장비·식량 ⑥ 앞으로의 행동 등을 빠짐없이 연락한다. 조난현장에서 구원을 요청할 때는 큰소리·호루라기·물건 두드리는 소리 등을 내서 알리며, 흰 천을 흔들거나 하는 시각적 방법, 야간에는 등화의 점멸방법 등 임시조치를 취하며, 세계공통의 신호를 알기 쉽게 보낸다. 신호는 1분에 10초 간격으로 6회 보내며 1분간 중지하고 다시 10초 간격으로 6회 보낸다. 이를 여러번 반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신호는 1분에 10초 간격으로 3회 하며 1분 뒤에 다시 반복한다.


한국의 등산역사:한국은 고대부터 숭천숭산사상(崇天崇山思想)을 지녀왔으며 여기에서 등산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단군의 강림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 산에 있는 사찰은 산이 신앙의 수련장임을 뜻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BC 30년 고구려 동명왕의 왕자 온조(溫祚)와 비류(沸流)가 부아악(負兒嶽;지금의 북한산 인수봉)에 오른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한편, 산은 삼국시대부터 가사문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근대 이전의 등산:등산의 시초는 신라 화랑도의 활동에서 볼 수 있으며, 대상지역은 신라 전국토였다. 혜초(慧超)가 723∼27년에 중앙아시아지역인 파미르고원·힌두쿠시 일대를 여행한 것이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에 기록으로 남아 있다. 고려 때 정도전의 백두산 등정, 조선시대 이성계의 덕유산 등정, 안평대군의 북한산 등정 또한 기록에 남아 있다. 김일손의 지리산 등정(1480), 이이의 금강산(1560)과 청학동 소금강 기행(1569), 이명한(李明漢)·정곤수(鄭崑壽) 등의 청학동 소금강 등행(1640), 김창협(金昌協)의 금강산·설악산 등행 등의 기행록인 《동유기》, 정시한(丁時翰)의 《산중일기(1686)》, 송진명(宋眞明)의 《백두산지도(1730)》 제작, 남하정(南夏正)의 계룡산 등산(1731) 등은 하나의 등산사적인 기록이다. 그리고 박종(朴琮)의 《백두산 유록(1764)》에 있는 백두산 집단등정에 관한 기록이 있고, 특히 김정호(金正浩)의 1860년대 《대동여지도》 제작을 위한 백두산 등 전국각지의 산천답사는 학술목적의등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1886년에는 영국인 하즈반드 일행의 백두산 등정과 그 뒤, 미국·일본·러시아·영국인 등의 백두산 등정 기록이 있다.


근대의 등산:근대등산의 표본인 암벽등반은 임무(林茂)와 영국인 아처가 1926년 5월 북한산 인수봉을 최초로 등정함으로써 시작되어, 서울 근교 암벽을 차례로 등반하였으며 30년대부터는 미등정의 산을 찾아 암벽등반과 겨울등산의 초등반이 개시되었다. 27년에는 박석윤(朴錫胤)이 알프스 몽블랑 등산기를 발표하였으며, 20년대에는 한국여성산악부가 설립되고 31년에는 일본인을 중심으로 <조선산악회>가 창설되었다. 34년 김정태·엄흥섭이 도봉산 만장봉을 초등하여 한국인의 독자적인 초등반이 시작되었으며, 38년 말경부터 <백령회(회장 엄흥섭)>가 결성되면서 양두철·주형렬 등이 서울 근교 암벽에서 새로운 코스를 통한 초등에 성공하였고 41년 12월부터 42년 1월까지 마천령산맥을 종주하였다.


현대의 등반:① 8·15∼1960년:8·15 뒤 <한국산악회>가 설립되었다. 순수산악인들인 백령회원이 기반이 되었으나 주로 학술조사 목적의 등산이 성행하였으며, 산이 아닌 인근 도서가 주요 활동무대가 되었다. 6·25 뒤 대학산악부가 창설되었으며, 등정대상은 설악산으로 옮겨갔다. 한국산악회는 55년 설악산 등반, 56년과 57년의 동계 한라산 등반을 하여 한국등반운동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학생산악운동으로는 55년 서울문리대의 설악산 천불동 초등반, 56년 서울공대의 지리산 전산종주가 있었다. 한편 각지방에 산악단체가 창설되었다. ② 60∼80년:1960년부터 한양공대 산악부가 도봉산 선인봉과 북한산 인수봉에서 새로운 코스를 개척하여 초등하면서 암벽등반이 성행하였고, 각종 산악단체가 설립되면서 이들 단체를 규합한 대한산악연맹이 62년 창립되었고 등산장비도 국산으로 개량되어 새로운 코스가 개척되었다. 62년에는 경희대학교의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Ⅱ봉(7751m) 등반을 시작으로 70년 추렌히말 원정 등의 해외등반이 있었고, 특히 77년 대학산악연맹 에베레스트원정대(대장 김영도)는 9월 15일 고상돈(高相敦)과 셰르파 펨바노루부가 에베레스트등정에 성공했으며, 78년에는 한국산악회의 유동옥(兪東玉)과 셰르파 파상놀브가 안나푸르나 Ⅳ봉을 등정했고, 79년에는 알래스카의 매킨리를 한국일보대·고령산악회대·고려대학교산악회 등 3개 대가 등정에 성공했다. ③ 1980년 이후:해외원정이 수적으로 급증하고 국내에서는 동계 빙벽등반이 새로운 한계도전의 등산운동으로 등장하였다. 1980년 악우회를 비롯하여 4개 대가 알프스의 아이거 등 3대 북벽등정 성공, 동국대학교산악회는 히말라야 마나슬루를 무산소 등정하였고 서울문리대산악회는 안데스의 아콩카과를 등정하여 80년부터 85년까지 68개 대가 해외원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인접국인 일본·타이완을 제외한 남아프리카·북아프리카·알프스·남극지역·북극지역 등에도 39개 대가 도전했다. 그 중에는 81년 에코와 은벽 합동의 알프스 드류서벽 등정, 성균관대학교산악회의 안나푸르나 Ⅰ봉 남봉 등정도 있으며, 82년 대전 자일클럽의 고준바캉 등정은 세계적인 초등기록이 되었고 남선우(南善佑)의 동계 푸모리초 등반은 한국 최초의 히말라야 동기 초등기록이 되었다. 83년에는 허영호(許永浩)의 마나슬루 무산소단독초등, 남선우의 아마다브람에 동기 무산소단독초등이 있었으며, 86년 울산대산련의 이규진 등이 히말출리 북봉에 세계초등반을 하였고 홍석하 등의 남극대는 최고봉 빈슨에 등정했다. 86년 K2, 87∼88년 8611m의 에베레스트 동계 등정, 90년 8068m의 가셔브롬 1봉, 91년 8028m의 시샤팡마 남벽 등정, 92년 낭가파르바트, 93년에는 한국여성원정대를 비롯한 3개 원정대가 에베레스트 등정, 그리고 고봉 중 미등봉이던 8047m의 브로드피크를 95년 7월 12일 에스파냐의 합동원정대로 등정에 성공하였다. 또한 95년 10월 2일 엄홍길이 8516m의 세계 4위봉 로체 등정에 성공하였다. 국내 등반에서는 84년 토왕성 빙폭과 좌우암벽, 85년 대승폭포 빙폭을초등정하여등반능력을국제적으로인정받았으며난이도가높은볼더링과하드프리등반이시작되고있다.

용어
가이드 guide 등산을 안내하는 사람
gap V자형으로 얼음이 갈라진 곳
걸리 gulley 암석중에 있는 구곡(溝谷)으로 크기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고르지 gorge 복도 모양으로 암벽이 좁은 협곡
극지법 polar method 극지등산처럼 많은 사람을 동원하여 베이스캠프에서 부터 서서히 캠프를 전진시키면서 정상에 도달하는 등산방법
글리사드 glissade 얼어붙은 빙설면을 등산화만을 사용하여 활강하는기술. 피켈과 지팡이로 몸을 지탱한다
나겔 Nagel 징이 박힌 등산화
다이내믹빌레이 dynamic belay 제동확보. 자일을 미끄럽게해 충격을 줄이는 확보기술
데브리 debris 떨어져나온 암석부스러기나 눈덩어리
디레티시마 direttissima 수직등반주의. 정상을 향해직선으로 오르는것
라스트 last 맨 나중에 오르는 사람
라케트 raquette 고리모양으로 만든적설기의 보조신발
러셀 russel 등산할때 선두에 서서 눈길을 만들면서 전진하는것
러시택틱스 rush tactics 소수의 팀인원 전부가 한꺼번에 난코스를 등정하는 방법
리더 leader 한팀의 인솔자·지휘자
모레인 moraine 빙하에의해 운반된 퇴석구(堆石丘)
무거 mugger 등산화에 박는 납작한 징
버트레스 buttress 우뚝솟은 암벽
베르크슈룬트 Bergschrund 눈 쌓인 계곡·빙하에서 암벽사이의 틈새. 크레바스(crevasse)는 빙하 또는 눈 쌓인 계곡에 있는 틈새이므로 다르다
베이스캠프 base camp 지리적조건이 양호한 지점에 설정한 등정의 기점으로 삼는 캠프
비박 Biwak 예정에 없던 곳에서 실시하는 노숙
셰르파 Sherpa 히말라야 등반시 길을 안내하는 사람들의 총칭
셀프빌레이 self belay 자기확보.다른사람의 확보가 아니고 자신의 안전을 위해 암각(岩角)·하켄등을 이용하여 확보하는것
슬래브 slab 한층의 바위
스탠스 stance 발판.거점을 포함해서 홀드라고도 한다
아이젠 Eisen 강철제의 스파이크로 등산화에 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알피니즘 Alpinism 근대 등산 운동
자일슐링게 Seilschlinge 자일고리
재밍 jamming 암벽 틈사이에 손이나 다리를 넣고 그것을 지점으로 하여 오르는 기술
첼트작 Zelt Sack 비상용 간이 텐트
chock 바위틈에 끼워 사용하는 용구
침니 chimney 바위틈이 굴뚝 모양인곳
카라비너 Karabiner 금속제의 고리.하켄과 조합해서 사용한다
칸테 Kante 암벽이 다면체의 뾰족한 모서리 모양을 한 부분
컨티뉴어스 크라이밍 continuous climbing 팀이 자일로 몸을 서로 묶어 동시에 등반하는 기술
키슬링 Kissling 양쪽에 호주머니가 달린 대형 배낭
킥스텝 kick step 빙설면의 사면에 등산화로 발판을 만들면서 등반하는것
트래버스 traverse 비탈을 횡단하는것
티롤리언브리지 Tyrolean bridge 양끝이 고정된 자일을 통해 계곡사이 또는 크레바스 등을 횡단하는 기술
피켈 pickel 등산용 지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