搜索 高级搜索
등산지식 登山mountaineering 산을타는즐거움으로오르기힘든높은산에올라가는스포츠. 따라서동식물채집같은학술조사를위해산에올라가는것은등산이아니다. 최근에는세계적으로등산인구가늘어나, 등산은관광레크리에이션화또는프로스포츠화되어있다. 〔세계등산의변천〕사람들은자연의아름다움을아주오랜옛날부터알고있었다. 이탈리아의시인페트라르카는1336년프로방스의몽벤투(1920m)에올라가, 아버지에게편지로고된등반가운데의즐거움을전하고있다. 1574년에는세계최초의등산기술서가취리히대학지물러교수에의해출판되었다. 18세기중엽에는알프스의최고봉몽블랑(4807m)에큰관심을가졌던제네바의자연과학자오라스베네딕트드소쉬르가몽블랑등반자에게상금을걸어, 1786년프랑스샤모니의의사파카르와수정채취인팔머가정상에올랐다. 이리하여알프스스포츠등산황금시대가시작되었다. 알프스제2 의고봉몬테로자(4634m)를1855년영국의스마이스일행이등정하는등영국등산가를중심으로미등의거봉들이잇따라정복되었으며, 57년에는세계최고(世界最古)의등산회인알파인클럽이영국런던에서발족했다. 알프스의황금시대는마터호른(4478m)의등정으로끝났으나영국의판화가에드워드휨퍼는65년드디어그정상에섰다. 그러나하산도중로프가끊어져추락했다. 이사고로한때등산금지론까지나왔으나, 등산자의눈은알프스에서카프카스·안데스·히말라야등으로옮겨갔다. 97년남아메리카의아콩카과(6960m)가영국의피츠제럴드대(隊)에의해, 1910년알래스카의매킨리(6187m)가미국의테일러일행에의해, 1889년아프리카의최고봉킬리만자로(5895m)가독일의마이어등에의해등정되어, 남은것은히말라야카라코룸·힌두쿠시등7000, 8000m의고봉들이었다. 36년틸먼등영미합동대의난다데비(7817m) 등정이제2 차세계대전전의최고기록이다. 제2 차세계대전후프랑스의M. 에르조그대(隊)가50년안나푸르나(8091m) 등정에성공하여히말라야의황금시대가시작되었고, 53년영국의J. 헌트대(隊)가에베레스트(8848m), 독일대가낭가파르바트, 54년이탈리아대가K2, 오스트리아대가초오유, 55년프랑스대가마칼루, 56년일본대가마나슬루(8125m), 스위스대가로체, 오스트리아대가가셰르브룸Ⅱ, 57년오스트리아대가브로드피크, 58년미국대가히든피크, 60년스위스대가다울라기리, 64년중국대가고사인탄을등정하여세계의8000m급거봉의초등정이끝났다. 60년대에는일단정복된산이라도더험난한루트에의한등반, 70년대부터는단독등반에더많은가치가인정되었고위험도가높은등산이많아졌다. 〔등산기술〕등산기술은같은산, 같은코스라도계절또는기후에따라그난이도가다르다. 따라서빈틈없는준비와훈련후에행동계획을입안하고, 자연과인간의관계를힘의관계에서판단해가는것이중요하다. 등반·보행·생활등의구체적기술은2차적인것에지나지않는다. 〈등반형식〉왕복, 횡단, 종주(縱走), 방사상(放射狀), 집중, 소행(遡行) 등으로나뉜다. ①왕복등산:같은산을같은코스로오르내리는초보적인것 ②횡단등산:한쪽에서등산하여다른쪽에서내리는방법 ③종주등산:몇개의산정을이어서걷는방법 ④방사상등산:산록또는산속에근거지를두고주변산들을오르내리는것 ⑤집중등산:하나의산정을향하여여러팀이서로다른루트로등산하는방법 ⑥소행:계곡을따라오르내리는방법. 〈등산계획〉목표로하는산과등산기일을정하고, 멤버개개인의체력·기술·경험등을참작하여팀의능력을판단한다. 등산 전에 몇차례 회합을 갖고, ① 목적지·코스의 결정 ② 리더와 멤버의 결정 ③ 예산 ④ 등반대 각자의 임무분답 ⑤ 행동예정표·식량장비표·참가자명부 작성 ⑥ 현지·재향연락소 설정 등을 협의·검토한다. 그 결과 참가자 전원이 목적하는 산과 루트를 사전에 숙지하고 있으면 이상적이라고 하겠다. 〈트레이닝〉 산의 난이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등산에도 트레이닝은 필요하다. 평소부터 몸을 길들이고 체력을 길러 두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내구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몸에 저항력을 붙이도록 10일 전쯤부터 칼로리 섭취에 충분한 주의를 하는 것도 중요하다. 〈보행기술〉 걷는 방법과 휴식방법이 중요하다. 일정한 속도로 발바닥 전체를 사용하여 리드미컬하게 걸어 피로를 되도록 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체로 20분 정도 걸은 다음 한번 쉬고, 신체·의복·짐 상황을 조절한 다음부터는 50분에 10분씩 쉬는 것이 보통이다. 팀원 중 발이 약한 사람을 표준으로 하고, 지도상에서 늘 자기 위치를 확인하면서 걷는다. 〈등반기술〉 암벽·빙설을 오르내리는데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암벽등반시에는 4개의 수족 중 3개는 늘 확실한 거점에 두고 다음 거점을 찾아야 한다. 곤란한 곳에서는 동행자와 로프로 같이 묶고 서로 확보하면서 나아간다. 거점이 적은 곳에서는 하켄·카라비너·줄사다리·활차 등을 사용한다. 빙설을 오르내리는데는 동철(冬鐵)·스키 등을 이용하고, 단단한 눈이나 빙벽에는 피켈·아이젠을 사용한다. 어려운 곳에서는 암벽의 경우와 같이 로프·하켄·카라비너를 사용한다. 등반기술은 세심한 주의와 엄격한 훈련을 거쳐야 비로소 쓸모있는 것이 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산막 등의 기존시설을 이용할 때는 남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하는 매너가 중요하다. 천막을 칠 때는 여름의 갑작스런 홍수, 겨울의 눈사태 등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그 설치장소 판단이 중요하다. 천막준비가 없이 비박할 경우에는 첼트작 이용기술이 필요하며 적설기에는 설동(雪洞) 또는 이글루를 만들어 이용한다. 〔등산용구〕 등산은 주로 보행에 의존하므로, 많은 용구나 식량을 휴대할 수는 없다. 안전·견고·경량·간편은 등산용구의 필요조건이다. 〈복장〉 평지의 복장보다도 신체보호·보온·방수·방풍기능이 양호해야 한다. 보행은 많은 노동량을 필요로 하므로, 땀을 흘릴 때 간단하게 방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오한으로 고생한다. 방한용에는 모직이 좋고, 스웨터는 가슴을 넓게 열 수 있는 것이 좋다. 〈장비〉 기본 장비는 등산화와 배낭이며, 나머지는 목표로 하는 산, 등산기간, 계절, 팀 인원 등에 따라 다르다. 신은 눈이 없는 곳을 오르는 가벼운 등산의 경우에는 캐러밴슈즈라는 경등산화로 족하고 겨울에는 스패치를 착용한다. 배낭은 큼직한 것이 좋고, 장기간 베이스캠프에서 생활할 때는 큰 것과 작은 것을 함께 사용한다. 〈등반용구〉 암벽등반에는 자일·하켄·카라비너·해머와 셀프빌레이용 하니스, 특수 등반용으로 줄사다리·유마르·피피초크 등이 사용된다. 빙벽등반을 위해서는 피켈·아이젠 외에 암벽등반 때와 마찬가지로 하켄·카라비너·해머가 필요하나 하켄·해머는 빙설용을 사용한다. 그 밖에 눈사태끈·표지포(標識布)·스키 세트·동철(冬鐵) 등이 필요하다. 〈일반휴대품〉 수통·일용품(성냥·세면도구·휴지·나이프·깡통따개·재봉용구·필기구등)·지도·컴퍼스·시계·라이트·구급약품·비상식량 등은 어떤 등산에도 필요하며, 라디오·카메라 등은 때에 따라 준비한다. 〔식량〕 등산은 많은 노동량을 필요로 하므로 체중 50㎏의 사람이 평지에서 2500칼로리를 필요로 했을 때 여름산에서는 4000칼로리, 겨울산에서는 5000칼로리 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맛있고 소화흡수가 잘되며 영양가가 높은 것, 가볍고 부패변질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산에서는 갑자기 노동량이 많아지고, 식욕도 주는 경우가 있어서 이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출발 1주일쯤 전부터 충분한 영양식을 섭취해 둘 필요가 있다. 주식은 쌀·빵 정도면 되고 칼로리 섭취를 위해 버터·치즈·육류의 지방질, 콩·대구포 등의 단백질, 홍당무·피망 등의 비타민A 등을 적당히 준비한다. 산에서는 예기치 않았던 일로 계획일수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비상식량을 반드시 지참하여야 한다. 또 산에서는 물을 되도록 마시지 않도록 한다. 많은 물의 섭취는 위액을 엷게 하고 쓸데없이 땀을 흘려 체력을 소모시킨다. 〔산에서의 조난〕 조난사고의 대부분은 피할 수 있으며, 불가항력에 의한 조난은 소수에 불과하다. 조난의 3대원인은 암벽추락·눈사태·피로이며, 희생자는 압도적으로 20대가 많다. 자신의 힘의 한계를 잊고 실력 이상의 등산에 욕심을 내지 않도록 겸허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조난방지의 최선의 방법이다. 기후의 급변이나 길을 잃었을 때 생기는 마음의 동요는 조난의 제 1보라 할 수 있다. 이럴 때 리더는 먼저 대원을 완전히 장악하고 침착하게 다음 행동을 생각해야한다. 길을 잃었을 때 먼저 있던 지점으로 되돌아간다는 룰을 지키지 않고 육감으로 행동하는 것은 심신소모의 큰 원인이 되고 조난을 자초한다. 짙은 안개로 앞이 잘 안보여 길을 잃었다고 생각되면 그 자리에서 멈추고 마음의 평정을 찾아 선후책을 강구해야 된다. 산에서 피로하면 초조감이 수반되며, 극도의 초조감은 상궤를 벗어난 정신상태를 일으키는 일도 있다. 적설기의 조난은 눈사태와 눈보라가 압도적이며, 자기 팀에서 사고자가 나왔을 때 리더는 다른 대원의 정신적 동요를 억제하고 당황하지 않도록 지휘해야 한다. 전락사고가 났을 때는 팀이 흩어지지 않도록 안전지대로 유도한 다음 전락장소까지 내려가 응급조치를 한다. 전락자를 찾을 수 없을 때는 힘을 다하여 찾아보고, 그래도 찾을 수 없을 때는 즉시 구원요청을 하여야 한다. 구원을 요청할 때는 ① 사고자의 성명·연령·주소·근무처·소속단체 ② 리더의 성명·주소 ③ 사고발생장소·상황·시간 ④ 나머지 인원의 상황 ⑤ 팀의 장비·식량 ⑥ 앞으로의 행동 등을 빠짐없이 연락한다. 조난현장에서 구원을 요청할 때는 큰소리·호루라기·물건 두드리는 소리 등을 내서 알리며, 흰 천을 흔들거나 하는 시각적 방법, 야간에는 등화의 점멸방법 등 임시조치를 취하며, 세계공통의 신호를 알기 쉽게 보낸다. 신호는 1분에 10초 간격으로 6회 보내며 1분간 중지하고 다시 10초 간격으로 6회 보낸다. 이를 여러번 반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신호는 1분에 10초 간격으로 3회 하며 1분 뒤에 다시 반복한다. 〔한국의 등산역사〕 한국은 고대부터 숭천숭산사상(崇天崇山思想)을 지녀왔으며 여기에서 등산의 뿌리를 찾을 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단군의 강림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 산에 있는 사찰은 산이 신앙의 수련장임을 뜻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BC 30년 고구려 동명왕의 왕자 온조(溫祚)와 비류(沸流)가 부아악(負兒嶽;지금의 북한산 인수봉)에 오른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한편, 산은 삼국시대부터 가사문학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근대 이전의 등산〉 등산의 시초는 신라 화랑도의 활동에서 볼 수 있으며, 대상지역은 신라 전국토였다. 혜초(慧超)가 723∼27년에 중앙아시아지역인 파미르고원·힌두쿠시 일대를 여행한 것이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에 기록으로 남아 있다. 고려 때 정도전의 백두산 등정, 조선시대 이성계의 덕유산 등정, 안평대군의 북한산 등정 또한 기록에 남아 있다. 김일손의 지리산 등정(1480), 이이의 금강산(1560)과 청학동 소금강 기행(1569), 이명한(李明漢)·정곤수(鄭崑壽) 등의 청학동 소금강 등행(1640), 김창협(金昌協)의 금강산·설악산 등행 등의 기행록인 《동유기》, 정시한(丁時翰)의 《산중일기(1686)》, 송진명(宋眞明)의 《백두산지도(1730)》 제작, 남하정(南夏正)의 계룡산 등산(1731) 등은 하나의 등산사적인 기록이다. 그리고 박종(朴琮)의 《백두산 유록(1764)》에 있는 백두산 집단등정에 관한 기록이 있고, 특히 김정호(金正浩)의 1860년대 《대동여지도》 제작을 위한 백두산 등 전국각지의 산천답사는 학술목적의등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1886년에는 영국인 하즈반드 일행의 백두산 등정과 그 뒤, 미국·일본·러시아·영국인 등의 백두산 등정 기록이 있다. 〈근대의 등산〉 근대등산의 표본인 암벽등반은 임무(林茂)와 영국인 아처가 1926년 5월 북한산 인수봉을 최초로 등정함으로써 시작되어, 서울 근교 암벽을 차례로 등반하였으며 30년대부터는 미등정의 산을 찾아 암벽등반과 겨울등산의 초등반이 개시되었다. 27년에는 박석윤(朴錫胤)이 알프스 몽블랑 등산기를 발표하였으며, 20년대에는 한국여성산악부가 설립되고 31년에는 일본인을 중심으로 <조선산악회>가 창설되었다. 34년 김정태·엄흥섭이 도봉산 만장봉을 초등하여 한국인의 독자적인 초등반이 시작되었으며, 38년 말경부터 <백령회(회장 엄흥섭)>가 결성되면서 양두철·주형렬 등이 서울 근교 암벽에서 새로운 코스를 통한 초등에 성공하였고 41년 12월부터 42년 1월까지 마천령산맥을 종주하였다. 〈현대의 등반〉 ① 8·15∼1960년:8·15 뒤 <한국산악회>가 설립되었다. 순수산악인들인 백령회원이 기반이 되었으나 주로 학술조사 목적의 등산이 성행하였으며, 산이 아닌 인근 도서가 주요 활동무대가 되었다. 6·25 뒤 대학산악부가 창설되었으며, 등정대상은 설악산으로 옮겨갔다. 한국산악회는 55년 설악산 등반, 56년과 57년의 동계 한라산 등반을 하여 한국등반운동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학생산악운동으로는 55년 서울문리대의 설악산 천불동 초등반, 56년 서울공대의 지리산 전산종주가 있었다. 한편 각지방에 산악단체가 창설되었다. ② 60∼80년:1960년부터 한양공대 산악부가 도봉산 선인봉과 북한산 인수봉에서 새로운 코스를 개척하여 초등하면서 암벽등반이 성행하였고, 각종 산악단체가 설립되면서 이들 단체를 규합한 대한산악연맹이 62년 창립되었고 등산장비도 국산으로 개량되어 새로운 코스가 개척되었다. 62년에는 경희대학교의 히말라야 다울라기리 Ⅱ봉(7751m) 등반을 시작으로 70년 추렌히말 원정 등의 해외등반이 있었고, 특히 77년 대학산악연맹 에베레스트원정대(대장 김영도)는 9월 15일 고상돈(高相敦)과 셰르파 펨바노루부가 에베레스트등정에 성공했으며, 78년에는 한국산악회의 유동옥(兪東玉)과 셰르파 파상놀브가 안나푸르나 Ⅳ봉을 등정했고, 79년에는 알래스카의 매킨리를 한국일보대·고령산악회대·고려대학교산악회 등 3개 대가 등정에 성공했다. ③ 1980년 이후:해외원정이 수적으로 급증하고 국내에서는 동계 빙벽등반이 새로운 한계도전의 등산운동으로 등장하였다. 1980년 악우회를 비롯하여 4개 대가 알프스의 아이거 등 3대 북벽등정 성공, 동국대학교산악회는 히말라야 마나슬루를 무산소 등정하였고 서울문리대산악회는 안데스의 아콩카과를 등정하여 80년부터 85년까지 68개 대가 해외원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인접국인 일본·타이완을 제외한 남아프리카·북아프리카·알프스·남극지역·북극지역 등에도 39개 대가 도전했다. 그 중에는 81년 에코와 은벽 합동의 알프스 드류서벽 등정, 성균관대학교산악회의 안나푸르나 Ⅰ봉 남봉 등정도 있으며, 82년 대전 자일클럽의 고준바캉 등정은 세계적인 초등기록이 되었고 남선우(南善佑)의 동계 푸모리초 등반은 한국 최초의 히말라야 동기 초등기록이 되었다. 83년에는 허영호(許永浩)의 마나슬루 무산소단독초등, 남선우의 아마다브람에 동기 무산소단독초등이 있었으며, 86년 울산대산련의 이규진 등이 히말출리 북봉에 세계초등반을 하였고 홍석하 등의 남극대는 최고봉 빈슨에 등정했다. 86년 K2, 87∼88년 8611m의 에베레스트 동계 등정, 90년 8068m의 가셔브롬 1봉, 91년 8028m의 시샤팡마 남벽 등정, 92년 낭가파르바트, 93년에는 한국여성원정대를 비롯한 3개 원정대가 에베레스트 등정, 그리고 고봉 중 미등봉이던 8047m의 브로드피크를 95년 7월 12일 에스파냐의 합동원정대로 등정에 성공하였다. 또한 95년 10월 2일 엄홍길이 8516m의 세계 4위봉 로체 등정에 성공하였다. 국내 등반에서는 84년 토왕성 빙폭과 좌우암벽, 85년 대승폭포 빙폭을 초등정하여등반능력을국제적으로인정받았으며난이도가높은볼더링과하드프리등반이시작되고있다. 〔용어〕 가이드guide 등산을안내하는사람 갭gap V자형으로얼음이갈라진곳 걸리gulley 암석중에있는구곡(溝谷)으로크기에따라명칭이달라진다. 고르지gorge 복도모양으로암벽이좁은협곡 극지법polar method 극지등산처럼많은사람을동원하여베이스캠프에서부터서서히캠프를전진시키면서정상에도달하는등산방법 글리사드glissade 얼어붙은빙설면을등산화만을사용하여활강하는기술. 피켈과지팡이로몸을지탱한다. 나겔Nagel 징이박힌등산화 다이내믹빌레이dynamic belay 제동확보. 자일을미끄럽게해충격을줄이는확보기술 데브리debris 떨어져나온암석부스러기나눈덩어리 디레티시마direttissima 수직등반주의. 정상을향해직선으로오르는것 라스트last 맨나중에오르는사람 라케트raquette 고리모양으로만든적설기의보조신발 러셀russel 등산할때선두에서서눈길을만들면서전진하는것 러시택틱스rush tactics 소수의팀인원전부가한꺼번에난코스를등정하는방법 리더leader 한팀의인솔자·지휘자 모레인moraine 빙하에의해운반된퇴석구(堆石丘) 무거mugger 등산화에박는납작한징 버트레스buttress 우뚝솟은암벽 베르크슈룬트Bergschrund 눈쌓인계곡·빙하에서암벽사이의틈새. 크레바스(crevasse)는빙하또는눈쌓인계곡에있는틈새이므로다르다. 베이스캠프base camp 지리적조건이양호한지점에설정한, 등정의기점으로삼는캠프 비박Biwak 예정에없던곳에서실시하는노숙 셰르파Sherpa 히말라야등반시길을안내하는사람들의총칭 셀프빌레이self belay 자기확보. 다른사람의확보가아니고자신의안전을위해암각(岩角)·하켄등을이용하여확보하는것 슬래브slab 한층의바위 스탠스stance 발판. 거점을포함해서홀드라고도한다. 아이젠Eisen 강철제의스파이크로등산화에부착하여미끄럼을방지한다. 알피니즘Alpinism 근대등산운동 자일슐링게Seilschlinge 자일고리 재밍jamming 암벽틈사이에손이나다리를넣고그것을지점으로하여오르는기술 첼트작Zelt Sack 비상용간이텐트 촉chock 바위틈에끼워사용하는용구 침니chimney 바위틈이굴뚝모양인곳 카라비너Karabiner 금속제의고리. 하켄과조합해서사용한다. 칸테Kante 암벽이다면체의뾰족한모서리모양을한부분 컨티뉴어스 크라이밍 continuous climbing 팀이 자일로 몸을 서로 묶어 동시에 등반하는기술 키슬링Kissling 양쪽에호주머니가달린대형배낭 킥스텝kick step 빙설면의사면에등산화로발판을만들면서등반하는것 트래버스traverse 비탈을횡단하는것 티롤리언브리지Tyrolean bridge 양끝이고정된자일을통해계곡사이또는크레바스등을횡단하는기술. 피켈 pickel 등산용 지팡이
延边大学登山协会 版权所有